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뉴스

EU 집행위, 스마트 컨트랙트 ‘킬스위치’ 의무화법 초안 승인

by COINBIT 2023. 11. 11.

EU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스마트 컨트랙트 사용 애플리케이션의 ‘킬 스위치(kill switch)’ 의무화 내용이 담긴 데이터법 개정안을 찬성 481표(반대 31표)로 잠정 승인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이번 데이터법 개정안은 27개 회원국 정상으로 구성된 유럽이사회의 공식 승인을 거쳐 최종 적용된다. 킬 스위치는 외부에서 기기 동작을 원격으로 멈추거나 삭제할 수 있는 기술로, 폴리곤(MATIC), 니어(NEAR) 등 암호화폐 기업들이 혁신 저해를 우려한다며 도입 반대 의사를 밝혀왔다.

암호화폐 관련주 급등세… 마이크로스트래티지 10.9% 상승

암호화폐 시장 랠리가 이어지면서 미국 증시에 상장된 관련 기업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고 블록웍스가 전했다. 현재 마라톤디지털홀딩스 주가는 전날 대비 12.06% 오른 9.57 달러에 거래되고 있으며, 코인베이스는 6.67%,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10.9% 상승 거래 중이다. 블록웍스는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 현물 ETF에 대한 낙관론이 지속되면서 암호화폐 시장 랠리가 이어진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크립트 헤지펀드 CIO “스웨덴 내 암호화폐 보유자 대상 납치·폭행 범죄 증가”

크립토글로브에 따르면 암호화폐 헤지펀드 아케인애셋(Arcane Assets)의 최고투자책임자(CIO)인 에릭 월(Eric Wall)이 최근 스웨덴 내 암호화폐 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납치, 폭행 등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신체적 학대와 비트코인 도난을 당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중에는 실제 비트코인을 보유하지 않은 자도 있었다”며 “다수의 피해자가 최근 비트코인 관련 팟캐스트 혹은 공개토론에 참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스웨덴 내 암호화폐 관련 팟캐스트가 방송 중단을 결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 블록체인 산업 협회 POSA, 유동성 스테이킹 지침 업데이트

미국 블록체인 산업 협회 POSA(Proof of Stake Alliance)가 유동성 스테이킹 관련 지침을 업데이트 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해당 지침은 지난 2020년 첫 발표 이후 약 3년만에 업데이트 된 것으로, 이번 버전에는 △스테이킹 제공자와 스테이커의 명확한 의사소통 필요 △스테이커가 자산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할 수 있도록 허용 △스테이킹 제공자는 스테이커를 위한 유동성을 관리하거나 통제할 수 없음 등의 내용이 포함됐다. POSA는 “이번 업데이트는 규제기관의 명확한 스테이킹 산업 규제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POSA는 아바랩스, 코인베이스, 라이도프로토콜, 패러다임, 인터체인 재단, 블록폴리오 등 15개의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설립, 참여하고 있다.

블랙록 이더리움 현물 ETF 델라웨어 등록

블랙록이 델라웨어 주 기업 등록 웹사이트에 이더리움 현물 ETF ‘ISHARES ETHEREUM TRUST’를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 사용자(@SummersThings)의 해당 포스트를 리포스트 했다. SummersThings는 “블랙록은 앞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서를 제출하기 7일 전 델라웨어 기업등록 웹사이트에 ‘ISHARES BITCOIN TRUST’를 등록한 바 있다”고 부연했다. 바이낸스 USDT 마켓 기준 ETH는 현재 8.3% 오른 2,043.1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와이즈 CIO “금융 자문가 61%, 2025년 이후에야 BTC 현물 ETF 승인 가능”

암호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Bitwise)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매트 호건(Matt Hougan)이 X를 통해 “매년 우리는 수백명 금융 자문가 대상 암호화폐 서베이를 진행한다. 올해 서베이 작업은 절반 정도 진행된 상태다. 우리가 던진 질문 중 하나는 비트코인 현물 ETF 승인 시기다. 응답자의 61%는 2025년 이후라고 답했다”고 말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 BTC 미실현 수익 $12억 돌파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의 미실현 수익이 12억 달러를 돌파했다. 회사는 158,400 BTC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매수가는 29,586 USDT다.

서클, USDC 및 EURC v2.2 업그레이드 발표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이 공식 페이지를 통해 USDC 및 EURC v2.2 업그레이드 내용을 발표했다. 업그레이드 내용은 ▲스마트 컨트랙트 월렛에서 서명 검증 활성화 ▲차단 주소 설정 ▲타임스탬프 체크 스킵 등 기능이 포함됐다. 오늘부터 각 블록체인 테스트넷 메인넷에서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며 완료될 때까지 수개월이 걸릴 예정이다.

갤럭시디지털 설립자 “미국, 내년까지 암호화폐 규제 승인 안 할 것”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 노보그라츠 갤럭시디지털 설립자가 “미국은 내년까지 암호화폐 규제 프레임워크를 승인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일본 노무라 암호화폐 자회사, 기관용 이더리움 펀드 출시

일본 대형 금융그룹 노무라홀딩스 암호화폐 자회사 레이저디지털(Laser Digital)이 공식 페이지를 통해 이더리움 펀드 출시를 발표했다. 이 펀드는 케이맨 제도 기반 장기 뮤추얼 펀드로, 암호화폐 커스터디 업체 코마이누(Komainu)가 커스터디를 맡는다. 이더리움 현물에 투자할 뿐 아니라 스테이킹을 통한 수익도 거둘 계획이다. 앞서 9월 레이저디지털은 기관용 비트코인 펀드를 출시한 바 있다.

지난주 美 신규 실업수당청구 21.7만건… 예상치 상회

지난주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가 21.7만 건을 기록하며 예상치인 21.5만 건을 상회했다.

SK텔레콤, 티월렛·탑포트에 니어프로토콜 기술 활용

뉴스1에 따르면 SK텔레콤이 현재 운영 중인 웹3 서비스에 니어프로토콜의 블록체인 운영체제 ‘보스(BOS)’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SK텔레콤 웹CO 담당 부사장은 니어콘(Nearcon) 2023에서 이같은 소식을 전하며 자체 월렛 티월렛, NFT마켓 탑포트에 니어프로토콜이 개발한 블록체인 운영체제 ‘보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니어프로토콜의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 ‘니어 호라이즌’과 함께 웹3 스타트업들의 창업을 지원하는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EC 위원장 FTX 부활 가능성 언급에 FTT 80% 급등

게리 겐슬러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이 FTX 운영 재개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FTX 토큰 FTT 가격이 하룻새 80% 넘게 급등했다고 더블록이 전했다. 코인게코에 따르면 FTT는 현재 84.9% 상승한 2.29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겐슬러는 CNBC 인터뷰에서 “새로운 경영자가 합법적인 범위 내에서 운영한다면 FTX의 운영 재개는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인도 싱크탱크 “암호화폐 원천징수세, 1%→0.01% 인하해야”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인도 싱크탱크 ESYA센터는 인도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에 부과하는 1% 원천징수세를 0.01%로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ESYA센터는 “원천징수세 도입으로 최대 500만명 투자자들이 해외로 빠져나갔다. 이로 인해 정부는 4.2억달러 세수 손실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앞서 인도 암호화폐 거래소 CoinDCX CEO 수미트 굽타도 원천징수세 도입으로 인도 암호화폐 거래량의 95%가 해외 거래소로 빠져나갔다고 말한 바 있다.

피델리티, 비트코인에 대한 9가지 비판 반박 보고서 공개

미국 대형 자산운용사 피델리티가 최근 비트코인에 대한 9가지 비판을 반박하는 보고서를 내놨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보고서는 13페이지 분량으로, 비트코인에 대한 9가지 비판에 대해 반박을 했는데, 이 9가지 비판은 다음과 같다: – 가치저장 수단으로 사용하기에는 변동성이 너무 크다

– 결제수단으로서 실패했다

– 에너지 낭비다

– 경쟁자들에 의해 대체될 것이다

– 가치를 뒷받침하는 게 아무것도 없다

– 코드 버그는 비트코인을 쓸모없게 만들 수 있다

– 규제로 인해 비트코인 보급이 늦어질 것이다

– 사람들이 흥미를 잃을 수 있다

– 알려지지 않은 미지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