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뉴스

이번주 비트코인 관전 포인트 TOP5

by COINBIT 2023. 12. 12.

비트코인 포인트

코인텔레그래프가 이번 주 비트코인(BTC) 장세와 관련 5가지 관전 포인트를 정리했다.

  • BTC 급락에 롱(매수) 포지션 대규모 청산
  • 美 연준, 기준금리 결정...CPI·PPI도 발표
  • 올해 내내 스테이블코인 공급 비율(SSR) 크게 증가: 단기 조정 가능성 시사
  • BTC 채굴 난이도 6연속 상승세 중단...1% 하락
  • 평균 $48,050에 BTC 대량 매집한 주소들 발견: 낙관 전망

카르다노 설립자 "미 SEC, BTC·ETH만 편애"

카르다노(에이다, ADA) 설립자 찰스 호스킨슨이 월요일 진행한 AMA에서 "미 증권거래위원회(SEC)는 BTC, ETH만 편애한다. SEC가 명확한 지침을 내놓지 않아 ADA를 비롯한 나머지 암호화폐가 부당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윌리 우 "BTC, 건강한 조정중...가격 상승 동력"

암호화폐 온체인 애널리스트 윌리 우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비트코인은 지난 2개월 동안 약 두 배 가까이 상승했다. 현재 조정이 오는 것은 그리 이상한 일이 아니다"고 전했다. 그는 "조정은 레버리지 포지션을 흔들고 더 큰 가격 상승을 불러올 것이다. 비트코인 변동성은 버그가 아니라 특성"이라고 설명했다.

짐 로저스 "암호화폐, 실질적 가치 없어"

세계 3대 투자자 중 한명인 짐 로저스가 매일경제 인터뷰에서 “나는 암호화폐에 투자한 적이 없다”며 “수많은 암호화폐가 결국 사라져 가치가 0이 됐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거래수단으로서 암호화폐는 실질적 가치가 없다”고 덧붙였다. 또한 “미국 경제에 문제가 발생할 조짐이 보인다. 내년에는 미국과 대부분의 세계 경제가 나빠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반에크 디지털자산 총괄 "USDT, USDC에 점유율 안 뺏길 것"

최근 글로벌 자산운용사 반에크가 기관들이 USDC를 선호하면서 USDC 시장 점유율이 USDT를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한 데 대해 반에크의 디지털자산 전략 총괄인 가버 거백스가 X를 통해 "이러한 예측이 동의하지 않는다. 개인적으로 USDT가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계속 주도할 거라 전망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스테이블코인은 개인 투자자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USDT는 개인에, USDC는 기관에 중점을 둠
  • 스테이블코인은 주로 신흥국에서 활용됨. USDT는 신흥국 시장에, USDC는 선진국 시장에 베팅함
  • 스테이블코인은 주로 불확실한 규제 및 불안정한 정치 환경에서 사용됨. USDT와 달리 USDC는 미국 기업이 발행하므로 이러한 환경에서 신뢰를 얻기 어려움
  • USDT는 미 국채를 대량 매입함으로써 달러를 전세계에 유통시킴. 이는 미국 국익에 부합

이러한 이유로 테더는 계속 선두에 위치해 있을 것이며, 앞으로 더 많은 기관 파트너와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

이번주 주요 글로벌 거시 일정은 다음과 같다. (한국시간 기준)

  • 12/12 2230 미국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
  • 12/13 1600 영국 10월 국내총생산(GDP), 2230 미국 11월 생산자물가지수(PPI)
  • 12/14 0300 미국 FOMC 금리결정, 0430 FOMC 기자회견, 2215 유로존 금리결정, 2230 미국 근원 소매판매, 미국 신규 실업수당청구건수
  • 12/15 0015 라가르드 ECB 총재 연설, 2345 미국 12월 제조업/서비스 구매관리자지수 이번주 주요 토큰 언락 일정... $2억917만 APT 언락 등
  • 토큰언락(Token Unlocks)에 따르면 이번 주(12월 11일~12월 17일) 언락되는 주요 토큰 물량은 다음과 같다.
  • APT: 12/12 09:00, 약 2484만개 언락, $2억917만, 총 유통량의 8.9%
  • 1INCH: 12/14 17:00, 약 1.5만개 언락, $6030, 총 유통량의 0.00%
  • CYBER: 12/15 13:19, 약 126만개 언락, $871만, 총 유통량의 8.51%
  • FLOW: 12/16 09:00, 약 260만개 언락, $218만, 총 유통량의 0.18%
  • APE: 12/17 09:00, 약 1560만개 언락, $2808만, 총 유통량의 4.23% 플랜비 "BTC 100% 포트폴리오 선택"

비트코인 가격 예측 모델 '스톡 투 플로우(S2F) 모델'을 고안한 네덜란드 출신 유명 애널리스트 플랜비(PlanB)가 "비트코인은 다른 모든 자산보다 위험조정 수익률이 더 높다. BTC 10%+현금 90% 배분 전략은 채권과 같은 리스크와 FAANG(빅테크 주식)과 같은 수익률을 가져다준다. 비트코인은 절대적인 게임 체인저"라고 포스트했다. 이에 한 유저가 "현금 비중을 90%로 가져갈 거라고요?"라고 묻자 플랜비는 "아니요, 나는 리스크를 감수하고 BTC 100% 옵션을 선택하겠다. 손실을 감당할 수 없다면 10%, 20% 등 다른 옵션을 선택해도 위험조정 수익률에서 모든 자산을 능가할 수 있다"고 답했다.

코인투자자, 내년 7월부터 거래소서 ‘예치금 이자' 받는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내년 7월부터 가상자산거래소에 예치한 돈에 대해서도 이자가 지급될 전망이다. 대체불가능토큰(NFT)과 예금토큰은 가상자산의 범위에서 제외된다. 다만 시행령은 예치금 관리기관을 은행으로 정하고, 은행이 이용자의 예치금을 자본시장의 투자자 예탁금과 동일하게 국채증권·지방채증권의 매수 등 안전한 자산에만 운용할 수 있게 했다. 때문에 투자자들이 받게 될 이용료 수준은 높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업계의 스테이킹 사업에는 제한이 생긴다. 앞으로 사업자는 이용자가 맡긴 가상자산과 동일한 종류·수량의 가상자산을 100%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용자의 가상자산을 위탁받은 뒤 위탁 전문 업체 등 제3자에게 재위탁하는 형태의 예치·운용, 스테이킹은 불가능해진다. 이밖에 내부자거래는 거래소에 해당 정보가 공개된 지 6시간이 지나야 가능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