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뉴스

코인베이스코인베이스 CLO "SEC 암호화폐 규칙 제정 청원 거부... 이의 제기 계획"

by COINBIT 2023. 12. 16.

코인베이스

디크립트에 따르면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코인베이스의 암호화폐 규칙 제정 촉구 청원을 거부했다고 발표한 가운데, 코인베이스 최고법률책임자(CLO) 폴 그레왈(Paul Grewal)이 "관련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글래스노드 "BTC 반감기, 내년 4월 23일 발생 예상"

글래스노드가 X를 통해 다음 비트코인 반감기가 내년 4월로 예상되는 가운데, 해당 이벤트가 4월 23일(현지시간) 쯤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글래스노드는 "최근 14일간 비트코인 평균 블록 생성 간격을 분석하면, 다음 반감기가 발생할 일자를 대략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며 "다음 반감기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일자는 약 130일 뒤인 2024년 4월 23일"이라고 설명했다.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블랙록, 어제도 SEC와 미팅"

블룸버그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가 X(구 트위터)를 통해 "블랙록이 어제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미팅을 가졌다. 이번에는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 측 직원들과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미 SEC, 코인베이스 규칙 제정 촉구 거부..."기존 법률 적용"

미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코인베이스의 암호화폐 규칙 제정 촉구 청원을 거부했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증권으로 간주되는 암호화폐에 대해선 기존 법률과 규정이 적용될 뿐 아니라, 지금이 새로운 규칙 제정의 적기라는 코인베이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또한 SEC는 규칙 제정 우선순위에 대해선 SEC가 재량권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코인베이스는 SEC 제소 전인 지난 5월 암호화폐 규제법 제정에 대한 청원을 요구했고, 제소 이후에는 SEC 답변을 촉구한 바 있다.

차이나모바일홍콩, NFT 마켓 출시

중국 이동통신사 차이나모바일홍콩(CMHK)이 NFT 마켓 '링크NFT'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링크NFT는 기업 대상 NFT 민팅, 거래 등을 지원한다. 또한 홍콩 거주자는 CMHK 자체 월렛 LinKey에 이더리움 기반 NFT 등을 보관할 수 있다.

美 SEC, '사이버 공격 4일 내 공개' 규정 이달 말부터 시행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상장기업 대상 사이버 공격에 따른 보고 의무 규정을 이달 말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상장기업은 사이버 공격이 투자자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될 경우 영업일 기준 4일 이내 해당 내용을 공개해야 한다. 미국에 상장된 암호화폐 기업도 이번 조치를 준수해야 한다.

서베이 "미 대다수 금융기업, 지난해보다 올해 암호화폐 더 초점"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팍소스(Paxos) 서베이에서 미국 금융 서비스 기업 대다수는 암호화폐 솔루션을 채택하고 있지만 기술적 어려움, 시장 변동성 등 장애물도 많다고 평가했다. 응답자 99%는 지난해보다 올해 암호화폐, 블록체인 프로젝트에 더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답했다. 다만, 56%는 기술 구현 복잡성이 암호화폐 솔루션 개발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지적했다. 51%는 시장 변동성을, 43%는 값비싼 기술 개발 비용을 주요 장애물로 꼽았다. 이번 서베이는 500만명 이상 사용자 및 500억달러 자산을 운용하는 미국 금융 서비스 기업 임원 4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안업체 "렛저 해킹 배후, 피싱 조직 엔젤 드레이너"

블록체인 전문 보안 업체 슬로우미스트가 암호화폐 하드월렛 업체 렛저(Ledger)의 커넥트 취약점 공격과 관련 "해당 공격은 오래된 피싱 범죄 조직인 엔젤 드레이너(Angel Drainer)에서 시작됐다"고 전했다. 엔젤 드레이너가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 악성 JS 파일 도메인을 관리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앞서 렛저 측은 "한 렛저 전 임직원이 피싱 공격에 노출돼 NPMJS 계정을 도난당했고, 공격자는 악성 코드를 심은 렛저 커넥트 키트를 배포해 사용자들의 자금을 해커 지갑으로 라우팅했다"고 전한 바 있다. 렛저 측은 피해액을 15일 새벽 기준 60만 달러 이상으로 추산하고 있다.

英 의원 "블록체인, 유망 기술...보다 명확한 규제 필요"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나탈리 엘피케(Natalie Elphicke)가 최근 한 연설 중 "영국 정부는 블록체인 기술 활용을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보다 명확한 규제 프레임워크를 마련해 산업 발전을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그는 "블록체인은 유망하고 잠재력이 큰 기술이다. 글로벌 공급망의 투명성을 제고하거나, 디지털 신원 인증, 데이터 검증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영국 정부는 암호화폐 허브가 되겠다고 하면서 규제 마련에는 소극적이다. 해당 산업에서 글로벌 리더가 되기 위해서는 정책입안자들도 기술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업계와 적극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브라질 대통령, 해외 보유 암호화폐 투자 수익에 15% 과세 법안 서명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브라질 대통령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Luis Inácio Lula da Silva) 브라질 대통령이 암호화폐 수익에 15% 세율을 적용하는 법안에 공식 서명했다. 법안은 해외 거래소에서 1,200 달러 이상의 암호화폐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2024년 1월부터 과세 대상으로 포함하는 것이 골자다. 앞서 코인니스는 브라질 상원이 새로운 소득세 법안을 승인하면서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에서 발생한 수익에 과세하는 방안이 유력해졌다고 보도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