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이낸셜타임스3

게리 겐슬러 과거에 “BTC 현물 ETF 미승인은 모순적”이라 발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위원장 게리 겐슬러가 지난 2019년 MIT 비트코인 엑스포에서 “BTC, ETH 선물 ETF는 출시됐는데, BTC 현물 ETF가 출시되지 못하고 있는 점은 (규제 당국의) 일관성 없는 태도이다”고 말했다고 외신이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2017년부터 BTC 현물 ETF를 거부해왔으며, 최근까지도 보호장치가 없다는 이유로 ETF 승인을 미뤄오고 있다. 커뮤니티에서는 ‘과거의 게리 겐슬러가 현재의 게리 겐슬러에게 틀렸다고 말하고 있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고 덧붙였다. 분석 “가짜 지갑 앱, 텔레그램 백도어로 인한 암호화폐 도난 가장 흔해” 블록체인 분석 업체 비트레이스(Bitrace) 분석을 인용해 “가장 흔한 암호화폐 도난 사고 원인은 검색 엔진에서 가짜 지갑앱을 다운로.. 2023. 10. 31.
파이낸셜타임스 “BTC 현물 ETF, 실제 출시보다 ‘이슈’로 머물 때 더 가치 있어”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비트코인 현물 ETF는 실제 출시보다 상상 속의 ‘이슈’로 남아있을 때 30배 더 가치 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의하면 FT는 “암호화폐 시장은 ‘캔디맨'(Candyman)과 유사하다. 이름을 자주 부르면 무에서 유가 창조된다. 1년 전 이더리움(ETH) 머지(PoS 전환) 이슈도 그렇다. 당시 소셜 미디어, 주요 레거시 미디어를 막론하고 해당 이슈를 보도했고, 코인베이스, 바이낸스, 크라켄 등 이더리움 고래들만 이득을 봤다. 이더리움 머지가 실제로 성공하고 안정화됐을 때 실제로 뚜렷한 가격 상승을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이번 비트코인 현물 ETF 이슈도 그렇다. 약 2개월 전 미국 판사는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비트코인 선물 ETF는 허용하면서 현물 ETF를 거부하는 .. 2023. 10. 30.
파이낸셜타임스 “블랙록 BTC 현물 ETF 신청 후 유럽 크립토 ETP 자금 유입 증가” 파이낸셜타임스 “블랙록 BTC 현물 ETF 신청 후 유럽 크립토 ETP 자금 유입 증가” 블랙록 등 대형 금융사들이 비트코인(BTC) 현물 ETF를 신청한 이후 유럽 암호화폐 ETP들의 거래량이 증가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유럽 암호화폐 ETP 순유입액은 1.5억 유로를 기록했다. 이는 2022년 3월 이후 월간 기준 최고 수준이다. 7월에도 6000만 유로가 순유입돼 두달 간 순유입세가 이어졌다. 이에 대해 암호화폐 ETF 업체 HANetf의 헥터 맥닐(Hector McNeil) 대표는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 신청이 영향을 미친 결과다. 코인쉐어스 데이터에 따르면 블랙록의 ETF 신청 이전 암호화폐 ETP는 9주 연속 순유출을 기록했었다”고 전했다.. 2023. 8. 24.